Primal Force 규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Primal Force 규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9)
    • Workout (1)
      • Training (1)
    • Study (17)
      • 논문리뷰 (13)
      • 운동정보 (2)
      • STC (2)
    • 규쌤 Life (1)
      • 프로필 (1)

검색 레이어

Primal Force 규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STC / 근육의 힘/길이(Force/Length) 특성과 힘/속도(Force/Velocity) 특성

    2022.02.26 by PF규트

  • STC / 챕터 1. 스트렝스와 스피드에 대한 기본 개념

    2022.02.05 by PF규트

  • 고블릿 스쿼트(goblet squat)와 랜드마인 스쿼트(landmine squat)의 차이 간단 논문리뷰

    2021.10.22 by PF규트

  • 유소년 야구선수 투수의 팔꿈치 어깨 부상 예방에 대한 논문 리뷰

    2021.10.05 by PF규트

  • 허리통증(요통)을 가진 사람들의 움직임 간단리뷰!

    2021.10.03 by PF규트

  • 저항운동(파워리프팅, 웨이트트레이닝 등)과 근비대를 위한 단백질 섭취에 대한 최근의 관점

    2021.09.30 by PF규트

  • 평발(flatfoot)과 보행에 대한 문제

    2021.08.09 by PF규트

  • 어깨 오십견은 무엇이며 어떻게 관리할까?

    2021.08.06 by PF규트

STC / 근육의 힘/길이(Force/Length) 특성과 힘/속도(Force/Velocity) 특성

힘/길이(F/L, Force/Length) 특성과 힘/속도(F/V, Force/Velocity) 특성은 역학적 용어로 측정될 수 있는 주요 특성이다 힘/길이(F/L) 특성 액틴과 미오신 필라멘트는 많이 겹칠수록 근육이 더 짧아지고, 적게 겹치면 더 길어진다 힘은 두 필라멘트가 적정 길이에서 가장 많이 겹칠 때 가장 세다 적용 사례로 회전근개 부분파열 케이스의 회원님이다 케틀벨 오버헤드 프레스 중 가장 텐션이 강한 구간에서 isometric(등척성) 수축을 하고 있는 중이다 어깨 벌림에 크게 관여하는 supraspinatus(가시위근, 극상근)의 더 효율적인 강화가 되었다 회원님도 그냥 오버헤드 프레스를 하는 것 보다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셨다 힘/속도(F/V) 특성 근섬유는 속도가 0일 때 가장 큰 힘을 ..

Study/STC 2022. 2. 26. 19:03

STC / 챕터 1. 스트렝스와 스피드에 대한 기본 개념

글을 쓰는 이유? 나는 일반인부터 선수까지 개인 및 단체 트레이닝을 하는 코치다 그리고 확실히 선수들도 많이 받다 보니 여러 가지 종목에 대해 알아야 했고 지식이 필요하였다 그러다가 2~3년 전 프란보쉬(Frans Bosch) 선생님의 Strength Training and Coordination(STC) 개념을 처음 접했다 선수 트레이닝에 있어서 더 많은 공부가 필요했던 상황이었는데 적절한 시기에 필요한 교육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막상 공부를 시작하니 생소한 단어들과 개념들이 난무하였고 내 머리는 그대로 blackout :( 선수들을 대상으로 트레이닝을 많이 진행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어려운 학문에 그러면 안됐지만 간단한 원리만 보고 책을 덮었다(당연히 금방 까먹음) 최근 이직을 하면서 더..

Study/STC 2022. 2. 5. 22:36

고블릿 스쿼트(goblet squat)와 랜드마인 스쿼트(landmine squat)의 차이 간단 논문리뷰

안녕하세요 규쌤입니다 :) 오늘 논문 리뷰는 고블릿 스쿼트(GBS)와 랜드마인 스쿼트(LMS)의 운동학적 차이에 대한 논문입니다 이 연구의 목적으로는 스쿼트와 변형에 대한 연구는 풍부하지만 고블릿 스쿼트와 랜드마인 스쿼트를 비교하는 연구는 부족하며, 두 개의 스쿼트 변형에 대한 연구를 수립하는 것입니다 연구 방법으로 GBS와 LMS를 하는 동안 남성과 여성의 thigh muscles(허벅지 근육)의 근전도(EMG)를 비교합니다 실험 참여자는 총 32명(남성 16명, 여성 16명)이며 근전도는 vastus medialis(중간광근), vastus lateralis(외측광근), semitendinosus(반건양근), biceps femoris(대퇴이두근)이 기록됩니다 두 스쿼트의 저항은 체질량(body ma..

Study/논문리뷰 2021. 10. 22. 16:45

유소년 야구선수 투수의 팔꿈치 어깨 부상 예방에 대한 논문 리뷰

안녕하세요 규쌤입니다 오늘 리뷰 논문은 유소년(또는 어린) 야구선수 중 투수의 과사용 부상 예방에 관한 논문입니다 미국에서는 매년 수백만 명의 야구선수가 과사용으로 인해 부상을 당합니다 정형외과 의사, 코치,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에 따르면 자뼈(척골)에 있는 팔꿈치 안쪽곁인대 부상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팔꿈치 안쪽곁인대는 내측측부인대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야구선수의 투구량, 과사용은 유소년 또는 어린 선수의 어깨와 팔꿈치 부상으로 이어지는 주요 요인입니다 그리고 피곤한 상태에 있거나, 팔 통증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투구하는 것도 관련이 있습니다 유소년 야구에서 시작되는 반복적인 "micro injury(미세 부상)"는 고등학교, 대학 및 프로 레벨에서 선수 경력을 끝내버릴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

Study/논문리뷰 2021. 10. 5. 02:50

허리통증(요통)을 가진 사람들의 움직임 간단리뷰!

안녕하세요 규쌤입니다 오늘 리뷰 주제는 허리통증(요통)을 가진 사람들의 앉았다 일어설 때의 움직임 조정(협응)에 대한 논문입니다 허리통증은 현대인들의 고질적인 문제죠? 컴퓨터 작업을 많이 하고, 공부하느라 앉아있는 시간이 긴 현대인들의 경우 허리통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본 논문에서도 허리통증은 선진국에서 흔히 볼 수 있다고 하며, 영국의 전국 조사에 따르면 성인의 40%가 12개월 동안 하루 정도는 요통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고 합니다 요통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15%는 일 년 내내 통증에 시달린다고 합니다 이 연구에서는 허리통증 그룹과 통증이 없는 그룹에서 허리, 고관절의 움직임 조정을 비교하고자 하였습니다 연구 참여자는 만성요통이 있는 성인 15명(남 7, 여 8명), 요통이 없는 ..

Study/논문리뷰 2021. 10. 3. 20:23

저항운동(파워리프팅, 웨이트트레이닝 등)과 근비대를 위한 단백질 섭취에 대한 최근의 관점

안녕하세요 규쌤입니다 최근에 일이 좀 많아서 블로그 쓸 시간이 없어서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되네요 무튼 오늘 주제는 저항운동과 근비대를 위한 단백질 섭취의 최근 관점이라는 논문에 대해서 설명드리려고 하는데요 저항운동이란 간단히 유산소와는 다르게 중량(load)을 이용하여 하는 운동을 말합니다 그리고 단백질을 얼마나 섭취하는 게 좋을지에 대해서도 고민을 아마 많이 해보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Abstract에 있는 내용을 보면 skeletal muscle mass(골격근 질량)는 external load(외부 부하), muscle protein synthesis(MPS, 근단백질합성), muscle protein breakdown(MPB, 근단백질분해) 과정에 의해 조절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저항운동은 시간에..

Study/논문리뷰 2021. 9. 30. 21:42

평발(flatfoot)과 보행에 대한 문제

평발은 소아에게서 많이 발생하는데 성인도 후천적으로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성인의 후천적 평발 문제는 다양한데 자주 발목을 접지르고 삔다거나, 후경골 힘줄(PPT, Posterior Tibial Tendon)이나, 연부조직 구조의 문제로 인해 아치가 상실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Tendon은 힘줄이라는 뜻으로 위 사진의 부위는 후경골근힘줄이 됩니다 같은 부위의 연부조직들입니다 인대, 윤활주머니, 힘줄말이집 등이 있습니다 위 사진 두 개의 문제들로 인해 아치가 상실되며, 성인의 후천적 평발이 올 수 있습니다 제 회원님의 케이스였으며 심하지는 않지만 왼발을 보시면 오른발에 비해 아치가 무너지면서 발목이 안으로 휜 것 같이 보입니다 이것을 외번(eversion)이라고 하는데, 나중에 몇 번 나올 단..

Study/운동정보 2021. 8. 9. 16:32

어깨 오십견은 무엇이며 어떻게 관리할까?

안녕하세요 규쌤입니다 오늘 논문은 오십견과 관련된 논문입니다 어깨 오십견이라는 질병 많이 들어보셨죠 요즘은 오십견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40대에서도 많이 보이는 문제입니다 정확한 명칭은 '유착성 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 AC)'라고 하며 '동결견(Frozen Shoulder)'이라고도 부릅니다 위 사진에서 빨간색 동그라미로 표시해놓은 관절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어깨관절로 Glenohumeral Joint(GH Joint)라고 하는데 오십견은 GH joint의 섬유화를 유발하고, 3개월 이상 지속되는 통증과, 경직 그리고 관절가동범위의 상당한 제한이 동반됩니다(일반적으로 외회전이 제한) 원인은 아직 제대로 밝혀진 것은 없으며 특발성이라고 하는데, 그럴듯한 위험요소가 있다고 하네요 근데 ..

Study/논문리뷰 2021. 8. 6. 19:3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Primal Force 규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