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평발(flatfoot)과 보행에 대한 문제

Study/운동정보

by PF규트 2021. 8. 9. 16:32

본문

평발은 소아에게서 많이 발생하는데 성인도 후천적으로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성인의 후천적 평발 문제는 다양한데 자주 발목을 접지르고 삔다거나, 후경골 힘줄(PPT, Posterior Tibial Tendon)이나, 연부조직 구조의 문제로 인해 아치가 상실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Tendon은 힘줄이라는 뜻으로 위 사진의 부위는 후경골근힘줄이 됩니다

 

 

 

같은 부위의 연부조직들입니다

인대, 윤활주머니, 힘줄말이집 등이 있습니다

 

 

위 사진 두 개의 문제들로 인해 아치가 상실되며, 성인의 후천적 평발이 올 수 있습니다

 

 

 

 

 

제 회원님의 케이스였으며 심하지는 않지만 왼발을 보시면 오른발에 비해 아치가 무너지면서 발목이 안으로 휜 것 같이 보입니다

이것을 외번(eversion)이라고 하는데, 나중에 몇 번 나올 단어라서 알고 계시면 좋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평발은 보행에도 문제를 만들어냅니다

보행은 발바닥이 땅에 닿아있는 상태인 입각기(Stance phase)와 발이 땅에서 떨어져 있는 유각기(Swing phase)로 나뉩니다

 

여기서 입각기는 단계가 나뉘는데

 

발 뒤꿈치가 땅에 닿는 Heel strike

 

발바닥 전체가 땅에 닿는 mid stance

 

 

 

발가락이 땅에서 떨어지는 Toe-off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아까 위에서 보여드렸던 후경골근(Posterior Tibialis)은 입각기 근육으로 간주되며 정상적인 보행패턴에 적절하게 발을 배치하는 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근육입니다

 

 

발 뒤꿈치가 땅에 닿는 heel strike(힐 스트라이크) 단계에서 후경골근은 subtalar joint(거골하관절)의 eversion(외번)을 늦추고, 단단한 mid stance를 만들어 toe-off 단계에서 종아리 근육들의 수축으로 몸을 앞으로 나아가게 합니다

 

 

 

여기서 subtalar joint는 위 사진에 빨간색으로 표시한 곳이며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발목관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후경골근에 문제가 생기면 결국 외번이 생길 수 있다는 말입니다

 

장기간 보행 문제가 지속되면 발목 주변의 인대들까지도 문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평발인 경우 이를 확인하는 게 중요합니다

평발은 후경골근 운동과 발을 고정하는 서포터들을 사용하여 회복할 수 있습니다

평발이 너무 심한 경우는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심한 경우이고, 보통 비수술적으로 해결합니다

 

 

 

이번에 이론적으로 평발과 보행에 대해 적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평발과 관련된 운동을 올려보도록 할게요 :)

'Study > 운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쿼트 vs 점프스쿼트 어떤 차이가 있을까?  (8) 2021.07.27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